윈도우 휴지통 비우기 오류 액세스 거부 오류 메시지 뜰 때 해결하는 간단한 방법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분명 휴지통을 비웠는데, 엑세스 거부 메시지가 뜨거나, 아이콘이
가득 찬 상태로 변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휴지통을 완전히 비워서 삭제해야 하는데, 안되는 경우지요.
휴지통은 드라이브 별로 숨겨져 있는데요. 우선 보이도록 설정해 보겠습니다.
탐색기 실행 후 윈도우 10은 상단 메뉴 중 [보기]를 선택 후 하위 메뉴가 나오면 [옵션]을 클릭해 주세요
윈도우 11은 우측 점 3개 클릭 후 [옵션]을 선택합니다.

폴더 옵션이 나오면 [보기] 탭을 선택 후 고급 설정 항목 중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권장)에 체크 해지 하신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경고 팝업 창이 나오면 [예]를 선택합니다.

탐색기를 보면 [$Recycle.Bin] 폴더가 보이게 됩니다.
이 폴더를 삭제 후 재부팅하면 오류가 해결 됩니다.
$Recycle.Bin 폴더는 자동으로 재생성 됩니다.

다른 삭제 방법입니다.
작업 표시줄 검색에 "cmd"를 입력합니다. [명령 프롬프트]가 검색되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해 주세요 .

관리자 권한을 가진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 후 엔터키를 눌러주세요
D 드라이브에 위치한 폴더를 지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드라이브 경로를 "D"로 지정 후 명령어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혹시 "디렉터리가 비어 있지 않습니다."라는 오류가 나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 후 엔터키를 눌러주세요
화면이 재부팅되면서 오류를 검사합니다.
"이 볼륨을 검사하도록 하시겠습니까? "라고, 나오면 "Y"를 입력 후 엔터키를 눌러주세요

부팅이 완료되면 다시 휴지통을 위에 안내했던 명령으로 삭제하시면 됩니다.
| 질문 (Q) | 답변 (A) |
| Q. $Recycle.Bin 폴더를 삭제해도 괜찮나요? | 네, 전혀 문제없습니다. $Recycle.Bin 폴더는 휴지통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 폴더이며, 삭제하더라도 윈도우가 재부팅 시 자동으로 새 폴더를 생성합니다. 오류가 꼬였을 때 초기화하는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
| Q. CMD 명령의 /s /q 는 무슨 뜻인가요? | /s 는 하위 폴더와 파일까지 모두 삭제하라는 뜻이며, /q 는 삭제 시 사용자에게 매번 확인(Yes/No)을 묻지 않고 조용히(Quietly) 진행하라는 옵션입니다. 강제적이고 신속한 삭제를 위해 사용됩니다. |
| Q. $Recycle.Bin이 C, D 드라이브 모두에 있는데, 다 지워야 하나요? | 오류가 발생하는 드라이브만 지우면 됩니다. 만약 어떤 드라이브에서 오류가 나는지 확실치 않다면, 주요 사용 드라이브(보통 C:)를 먼저 삭제해 보고, 문제가 지속되면 다른 드라이브도 삭제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