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 코어 격리 VBS HVCI 성능 저하로 설정 해제 기능 끄기
윈도우에서 고해상도 게임을 할 수 있는데요. 윈도우 11에 게임 성능 저하 이슈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게임이 안된다거나 성능이 너무 떨어서 크게 문제 되지는 않습니다.
VBS 라는 가상화 기반 보안 및 HVCI로 인해 성능 이슈가 발생한 것입니다
VBS나 HVCI는 간단하게 보안에 관련된 설정입니다.
게임이나 고해상도 작업을 하지 않는 분들이라면 이 보안상 이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시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윈도우 11 모든 사용자에게 이슈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윈도우 10에서 11로 업그레이드한 분은 이슈 없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처음부터 윈도우 11로 설치하신 분들은 이러한 이슈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기능이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 전 비활성화 되어서 문제가 없지만
새로 설치할 경우 VBS나 HVCI가 활성화되기 때문이지요
그럼 문제가 되는 VBS나 HVCI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 확인부터 해보겠습니다.
작업 표시줄에 돋보기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검색이 나오면 "시스템 정보"를 클릭해주세요

시스템 정보 창이 열리면 화면 하단 중 [가상화 기반 보안]이라고 있습니다.
이 기능이 사용 중이면 VBS나 HVCI가 활성화 상태입니다. 저는 이 기능을 꺼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안 함이라고 나옵니다.

비활성화하기 위해 다시 검색에 "코어 격리"를 검색합니다.
[코어 격리]가 검색되면 클릭해서 실행해주세요

코어 격리 창이 열리면 [메모리 무결성] 항목이 보이는데요 이 기능을 "끔"으로 해서 비활성화합니다.
이제 재부팅 하고나면 VBS나 HVCI가 비활성화 됩니다.
속도를 우선시 생각하시면 이 기능을 끄고 사용하시고 속도보다는 보안이 우선시 되면 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11 코어 격리 VBS HVCI 성능 저하로 설정 해제 기능 끄기를 알아보았습니다.